Contents
2. 상세 ¶
TV 가요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연예인들만을 가수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지만, 실제로 대부분 가수는 TV에 출연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가수는 라이브 카페나 밤무대, 행사 등에서 노래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한국가수협회에 등록만 하고 활동하지 않는 가수들도 상당수.
음반 작업을 하거나 TV에 출연하는 것들은 가수가 하는 일의 극히 일부. 그것만으로 생계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도 지극히 일부에 한정된다. 일반인들이 가수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실제 가수를 직업으로 가진 사람 중 1% 내외라고 할 수 있다.
TV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가수도 은근히 고달픈 처지다. 음악 프로그램 출연료가 회당 10만 원 안팎이다. 슈퍼주니어나 소녀시대처럼 멤버가 우글우글하면 조금 더 얹어주기도 하지만, 크게 변함은 없다. 오히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게 더 많이 받는다. 그나마도 기획사랑 나눠 먹어야 한다. 음반은 더럽게 안 팔리는데 디지털 앨범(MP3) 판매 역시 여기저기 떼어먹히다 보면 가수에게 돌아오는 돈은 곡당 약 1~20원 가량.
그래서 많은 가수들이 가수 활동 외에 예능이나 연기 활동 등도 병행하고 있으며(아예 전업하기도), TV 외에 소위 말하는 '행사'를 뛰고 있다. 행사 수입이 많기로 유명한(=행사를 많이 뛰기로 유명한) 가수는 김장훈이나 장윤정 등. 적어도 한국에서는 이런 거 하기 싫으면 개인 사업이나 외국 진출해서 대박 나는 방법밖에는 없다.
3.6. 프로젝트, 유닛 그룹/밴드 ¶
- 노땐스 - 신해철과 윤상의 프로젝트 그룹.
- 레인보우 픽시 - 레인보우의 유닛.
- 베란다 프로젝트 - 김동률과 이상순의 프로젝트 그룹.
- 씨스타19
- 애니밴드 - 삼성 애니콜 Talk+Play+Love 프로모션 밴드.
- 여성시대
- 오렌지 캬라멜 - 애프터 스쿨의 유닛.
- 이오공감 - 이승환, 오태호
- 인피니트H - 인피니트의 유닛.
- 인피니트F - 인피니트의 유닛.
- 카니발 - 김동률과 이적의 프로젝트 그룹.
- 프로젝트 프렌즈 - 김연우, 김형중, 변재원
- HOMME By 'Hitman'Bang - 창민, 이현
- JTL - HOT 멤버 중 3인(장우혁, 토니안, 이재원) 프로젝트 그룹.
- M4 - 김원준, 배기성(캔), 최재훈, 이세준(유리상자)
- 4minute 2YOON
- 4Tomorrow - 삼성 두근두근 Tomorrow 프로모션 그룹.
- 트러블 메이커 - 포미닛 현아 + 비스트 장현승
- Apink BnN - Apink 보미 + Apink 남주 - 용형 10주년 기념 일회성 프로젝트 그룹
- ToHeart - 인피니트 우현 + 샤이니 Key
----
- [1] 연예인 항목 중에서 가장 방대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 [2] 멤버의 구성이 기타(장호일), 키보드(정석원)뿐이라 전형적인 밴드라 보기엔 애매하지만, 과거엔 베이스(조형곤), 드럼(조현찬)도 있었고 해서 밴드에 넣었다.
- [3] 보컬로이드는 음성 합성 프로그램의 일종이기 때문에 보컬로이드 프로그램으로 노래를 부르게 만들 수는 있어도 가수라고는 할 수 없다.. 지만 일단 가수로 등록되어 있고 앨범까지 나온상태이다.
- [4] 2011년 7집, 2014년 8집에서의 모습을 본다면.
- [5] 의외지만 2011년 7집부터는 싱어송라어터에 가깝다.
- [6] 작사가로도 유명하지만 싱어송라이터로도 유명하다. 상대적으로 그 곡들이 잘 안 알려졌을 뿐.
- [7] 토이에서 자기 자신이 보컬을 맡는 경우가 드물긴 하지만(...)...
- [8] 2012년 4집 이후로는 싱어송라이터에 가깝다.
- [9] 일렉트로니카 밴드 캐스커의 리더 겸 프로듀서. JUNNO라는 이름의 솔로 앨범도 냈었으니...
- [10] 가수로서 데뷔한 건 비교적 최근인 2010년이긴 하다.
- [11] 1979년생 남성 싱어송라이터다. 보드카레인 베이스.
- [12] 이 쪽은 반대로 가수였다가 성우로 재데뷔한 케이스.
- [13] 대한민국 남자 성우 최초이자 최초로 성우 그룹으로 앨범을 낸다.
- [14] 2013년에 한국 성우 최초로 정식 앨범을 냈다.
- [15] 에메라고 읽는다. 사실 발라드 전문의 가수는 아니고 여러 장르를 하지만 주로 발라드를 부른다. miwa 또한 같은 케이스.
- [16] 데뷔초 한정. 2000년대부터는 일렉트로니카의 영향이 짙다.
- [17] 젊었을 때 부른 노래를 음반으로 발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