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경보 4단계: 흑색경보 발령! HELP!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국가/지역에 흑색경보(여행금지)가 발령되어 있습니다.
해당 국가/지역에 방문할 예정이라면 여행경보제도(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웹 사이트)의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경고: 해당 국가/지역에 대한 방문·체류를 금지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여권법 제17조, 제26조에 따라 처벌을 받습니다.
甲山郡 / Kapsan
1. 개관 ¶
북한 행정구역상 양강도의 군. 면적 1,076㎢.
본래는 함경남도 소속이었다. 이게 국경 지역에 있는 군들을 모아 양강도를 신설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관된 것. 옆 동네 삼수군과 묶여서 삼수갑산(三水甲山)으로 유명(?)한 산동네이다. 북쪽으로 혜산시와 접하고, 남쪽은 풍산군이다.
조선~대한제국 시대까지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이었다. 이 때의 면적이 무려 7,650㎢으로, 현재[1] 한국 최대 면적의 군인 무산군(6,164㎢)보다도 훨씬 더 넓었다. 그러나 1914년 남부를 풍산군으로, 1942년 북부를 혜산군으로 분군하면서 면적이 대폭 감소하여 광복 당시에는 1,398㎢로 줄어들었다. 혜산군을 분군하기 전까지는 백두산 역시 이 갑산군 관할이었다.
개마고원에 위치한 동네들이 다 마찬가지지만 당연히 엄청 춥고 산세도 험한 동네다.
통일이 되면 예전의 명성을 되찾아 무진장이나 BYC 따위와는 비교를 거부하는 오지로 꼽힐 것이 확실하다. 예로부터 유배지로는 그만이었으며(…) 실제로 유배를 가서 살아 돌아온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때문에 이 삼수와 인근의 갑산에서 유래한 '삼수갑산을 가다'는 말뜻이 바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거나 죽게 되었다는 뜻이다.군인들 사이에서 통하는 동의어로는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가겠네가 있다
4. 하위 행정구역 ¶
광복 당시 5면
- 갑산면 - 1393년에 쌓은 갑산읍성의 남문인 진북루(鎭北樓)가 남아 있다.
- 동인면(同仁面)
- 산남면
- 진동면(鎭東面) - 구리 광산인 갑산동산(銅山)이 있다.
- 회린면(會麟面)
----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행 행정구역이 아닌, 대한민국의 명목상인 이른바 이북 5도 상의 행정구역을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