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 관련 정보
- 이 페이지는 대한민국 학교교과를 다루는 페이지입니다. 단, 고등학교 시기의 교육과정은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서술합니다.
목차
※ 선택과정 : 선택중심교육과정(現 선택 교육과정)의 준말. 고등학교 2,3학년 시기[1]에 학생이 흥미, 진로, 적성,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게 한 교육과정을 뜻합니다.
3.4. 2011교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 361호를 토대로 작성한다. 자세한 부분은 직접 고시를 찾아보거나 2011교과 교육과정 참조하길, 앞으로 2014년 입학생부터 아래 교과에대한 활발한 작성바람 및 수정바람.
3.5.3. 영어과 ¶
- 기초 교과
- 기초 영어
- 기초 영어
- 일반 교과
- 실용 영어 I
- 실용 영어 II
- 실용 영어 회화
-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
- 영어 I
- 영어 II
- 영어 회화
- 영어 독해와 작문
- 실용 영어 I
- 심화 교과
- 심화 영어
- 심화 영어 회화 I
- 심화 영어 회화 II
- 심화 영어 독해 I
- 심화 영어 독해 II
- 심화 영어 작문
- 심화 영어
3.7.1. 체육과 ¶
- 일반 교과
- 운동과 건강 생활
- 스포츠 문화
- 스포츠 과학
- 운동과 건강 생활
- 심화 교과[11]
- 스포츠 개론
- 체육과 진로 탐구
- 육상 운동
- 체조 운동
- 수상 운동
- 개인 및 대인 운동
- 단체 운동
- 체력 운동
- 투기 운동
- 빙상 및 설상 운동
- 표현 및 창작 운동
- 스포츠경기 체력
- 스포츠경기 기술
- 스포츠경기 실습
- 코칭론
- 스포츠경영 행정
- 체육 전공 실기
- 전공 지도 실습
- 스포츠 개론
3.7.2. 예술과 ¶
- 일반 교과
- 음악과 생활
- 음악과 진로
- 미술 창작
- 미술 문화
- 음악과 생활
- 심화 교과[12]
- 음악 이론
- 음악사
- 시창·청음
- 음악 전공 실기
- 합창·합주
- 공연 실습
- 음악과 매체
- 교양 실기
- 드로잉
- 미술 이론
- 미술사
- 평면 조형
- 입체 조형
- 디자인·공예
- 미술 전공 실기
- 무용의 이해
- 기초 한국 무용
- 기초 발레
- 기초 현대 무용
- 무용 전공 실기
- 무용 음악
- 무용 감상과 비평
- 안무
- 문학 개론
- 문장론
- 고전 문학 감상
- 현대 문학 감상
- 시 창작 입문
- 소설 창작 입문
- 문예 창작 전공 실기
- 연극의 이해
- 연기
- 무대 기술
- 연극 제작 실습
- 연극 감상과 비평
- 영화의 이해
- 영화 기술
- 영화 창작과 표현
- 영화 제작 실습
- 영화 감상과 비평
- 음악 이론
3.8.1. 기술·가정/제2 외국어/한문/교양 ¶
- 일반 교과
- 기술·가정
- 독일어Ⅰ, Ⅱ
- 프랑스어Ⅰ, Ⅱ
- 스페인어Ⅰ, Ⅱ
- 일본어Ⅰ, Ⅱ
- 중국어Ⅰ, Ⅱ
- 아랍어Ⅰ, Ⅱ
- 러시아어Ⅰ, Ⅱ
- 베트남어Ⅰ, Ⅱ
- 한문Ⅰ, Ⅱ
- 철학
- 논리학
- 심리학
- 교육학
- 종교학
- 진로와 직업
- 보건
- 환경과 녹색성장
- 실용 경제
- 논술
- 기술·가정
- 심화 교과
- 농업 생명 과학
- 공학 기술
- 가정 과학
- 경영 일반
- 해양 과학
- 정보
- 독일어 회화Ⅰ, Ⅱ
- 독일어 독해Ⅰ, Ⅱ
- 독일어 작문
- 독일어권 문화
- 프랑스어 회화Ⅰ, Ⅱ
- 프랑스어 독해Ⅰ, Ⅱ
- 프랑스어 작문
- 프랑스어권 문화
- 스페인어 회화Ⅰ, Ⅱ
- 스페인어 독해Ⅰ, Ⅱ
- 스페인어 작문
- 스페인어권 문화
- 중국어 회화Ⅰ, Ⅱ
- 중국어 독해Ⅰ, Ⅱ
- 중국어 작문
- 중국 문화
- 일본어 회화Ⅰ, Ⅱ
- 일본어 독해Ⅰ, Ⅱ
- 일본어 작문
- 일본 문화
- 러시아어 회화Ⅰ, Ⅱ
- 러시아어 독해Ⅰ, Ⅱ
- 러시아어 작문
- 러시아 문화
- 아랍어 회화Ⅰ, Ⅱ
- 아랍어 독해Ⅰ, Ⅱ
- 아랍어 작문
- 아랍 문화
- 베트남어 회화Ⅰ, Ⅱ
- 베트남어 독해Ⅰ, Ⅱ
- 베트남어 작문
- 베트남 문화
- 농업 생명 과학
----
- [1]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는 이랬고,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는 고등학교 1,2,3학년 시기
- [2] 슬기로운 생활, 바른 생활, 즐거운 생활은 통합교과로 배움
- [3] 한문, 컴퓨터(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등 4과목
- [4] 사회, 역사 등 2과목
- [5] 한문, 정보, 환경과 녹색 성장, 보건, 생활 외국어, 진로와 직업 등 6과목
- [6] 라지만 국사와 한국근현대사에서 문화사 파트를 분리한 것으로 "한국 문화의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한 민족 정체성 확립"이라는 원대한 포부로 신설 예정 이었으나...
- [7] 과학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들과 일반계고 수학 특성화반 학생들이 이수한다.
- [8] 2011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부터 필수
- [9] 국제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이다.
- [10]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이다
- [11] 체육계열 특목고 학생들이 이수한다.
- [12] 예술계열 특목고 학생들이 이수한다.
- [13] 2011개정 교육과정부터 특목고의 전문교과가 일반교과로 옮겨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