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설명 ¶
loli, ロリ, 로린이
[JPG image (Unknown)]

[JPG image (Unknown)]
1.2. 오덕계에서 ¶
위 캐릭터는 《사랑해 베이비》의 유즈유.

[JPEG image (Unknown)]
2차원계에서는 보통 만 7세 이상~만 9세 이하를 '로리' 로 규정한다(물론 '설정만 성인' 인 경우도 있다). 초등학생 6학년까지는 로리로 봐주기도 한다. 단, 중학생은 로리 취급 받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단, 심의기관 앞에만 서면 나이가 20을 뚫고 30을 향해 치솟는다 카더라
2D가 아니라면 만 8세에서 13세 가량의 여아를 말하며 드물게는 3, 4세에서 17, 18세 정도로 범위가 넓어지기도 한다. 사실 애초부터 누군가에게 정의되었거나 하는 단어는 아니기 때문에 로리 커뮤니티에서는 아직도 '로리는 무엇인가?', '로리의 범주에 속하는 나이는?' 등의 토론이 이뤄지고 있다.
13세 이하의 아이들을 성적대상으로 하는 것은 페도파일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로리콘이나 페도파일이나 거의 다르지 않다. 다른 게 있다면 페도파일은 성적대상이 어린아이 전부라면 로리콘은 취향에 맞는 어린 여자애 라는 거 정도.둘 다 어린아이에게 성적욕구를 느낀다는 말이다. 그리고 현실의 어린아이는 여러 모로 취향에 부합하기 힘드므로 대부분 가상의 캐릭터가 대상이 된다.
로리콘이라고 하면 롤리타 콤플렉스에 해당된다. 이는 어린 소녀에게만 성욕을 느끼는 증세로서 본래는 매우 위험한 것이지만 오덕들이 하악대는 어린 소녀는 현실의 소녀들이 아닌 가상의 캐릭터일 경우가 많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걸 로리콘이라고 부르는 게 맞는지가 굉장히 애매해진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오덕들이 말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가상의 캐릭터' 일 뿐이며 현실의 소녀나 여성들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가상과 현실의 높은 벽
최근에는 페도파일(pedophile, 똑같이 소아성애자)의 준말인 '페도'로 대체되거나 붙여서 '로리페도' 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슷한 단어로는 로리터, 로으리 등이 있다.
2차원으로 만족하는 것도 위험하다는 인식이 있어 각 나라마다 항상 논란의 중심이다. 특히 영연방 국가들은 대부분 금지되어있다.[3] 최근 일본에서도 소위 '아포법' 으로 완전히 금지할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 별개로 이미 오래전부터 에로게 업계에서는 원칙적으로는 금지하고 있었다. 덕분에 사립 사쿠란보 소학교라는 동인집단이 존재할 정도(이들은 업계 규제가 심하다고 해서 업계에서 빠져나와서 동인으로 온 사람들이라고 한다).
알 아지프나 에셀드레다 같은 1000년도 더 묵은 녀석들이나 네로처럼 나이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등 나이를 내세워 발육부진 모에를 노린 캐릭터들이 많다. 요즘은 여고생, 심하면 2~30대임에도 불구하고 로리체형인 경우도 보인다. 전형적인 갭 모에를 느끼게 해주는 케이스. 이런 로리 캐릭터의 시조 되는 존재는 만화의 신인 데즈카 오사무의 피노코 이렇게 외모와 실제 연령이 심히 차이나는 경우 '합법로리'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이시하라 신타로가 2010년 1차 정례회의에서 온 오덕계를 뒤집어놓는 발언을 해놓았다. 창작물의 미성년자 캐릭터를 비실재 청소년으로 규정하고 보호하겠다는 발언이었으나 이는 명백히 표현의 자유 침해. 인권은 보호해야 할 사람이 실존해야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유명 만화가들이 집단 반발하여 단체로 서명한 끝에 이 법안은 부결되었고 이시하라는 오덕들의 철천지 원수가 되었다. 사실 저 바닥 사람들의 수가 상당해서 만약 적으로 돌린다면 상당수의 표를 날린다고 하는데 그는 초특급 망언을 해도 재선, 아니 4선되는 거물이다. orz. [4]
2009년 5월 미국에서 최초로 망가 수집가가 일본 로리망가 구입과 소지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한다. 미국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단순히 개인이 소지한 것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고 되어있다고 하는데 법이고 뭐고 떠나서 '나 이런 거 갖고 있다' 고 떠드는 행위는 주위로부터 쓰레기취급 받을 확률이 높으니 주의.
축빠들 중 상당수가 쇼타와 착각하는 단어이다. 로리는 여자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주로 남자 선수를 다루는 축구판에서는 남자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쇼타를 사용해아 맞다.
1.3. 특징 ¶
- 어린 여자아이기 때문에 당연히 빈유일 확률이 반 이상의 확률로 높지만 드물게 로리거유도 있다.[5]
- 혀 짧은 말투가 특징.
- 주로 연기하는 성우
- 한국 : 김율, 김서영, 김은아(KBS), 김현지, 류점희, 문남숙, 문선희[6], 박선영, 박지윤, 방연지, 배정미[7], 서유리, 서지연, 소연, 여민정, 여윤미, 은영선, 이용신, 이재현, 이지영, 이지현, 이현선, 장경희, 전해리, 정미숙, 정소영, 정혜원, 정윤정, 조경이, 지미애, 하미경, 한신정, 홍영란 등
- 일본 : 카네다 토모코, 코야마 키미코, 쿠기미야 리에, 카나이 미카, 코오로기 사토미, 타무라 유카리, 오오타니 이쿠에, 미즈키 나나, 미즈하시 카오리, 사이토 치와, 이토 카나에, 치바 치에미, 키타무라 에리, 이구치 유카, 하나자와 카나, 유우키 아오이, 노미즈 이오리, 니시무라 치나미, 카네모토 히사코, 호리에 유이, 오구라 유이,히다카 리나, 카쿠마 아이 등
- 미국 : 루시 크리스천, 모니카 리얼, 캐리 새비지, 샌디 폭스, 세레나 바게스, 스테파니 셰이, 켈리 월그렌, 크리스틴 마리 카바노스 등
- 한국 : 김율, 김서영, 김은아(KBS), 김현지, 류점희, 문남숙, 문선희[6], 박선영, 박지윤, 방연지, 배정미[7], 서유리, 서지연, 소연, 여민정, 여윤미, 은영선, 이용신, 이재현, 이지영, 이지현, 이현선, 장경희, 전해리, 정미숙, 정소영, 정혜원, 정윤정, 조경이, 지미애, 하미경, 한신정, 홍영란 등
- 직설적이면서도 묘하게 핵심을 꿰뚫는 말을 해 어른들을 당황하게 만든다. 어떤 의미로 등장인물 중 가장 제대로 된 인물이기도.
- 어린애 취급받으면 화장을 한다. 물론 엉망이다.
- 송곳니가 있다.
- 존댓말 캐릭터가 많다.
- 1인칭=자기 이름
미사카는 미사카는스트레이초는?어느 완전생물도
- 분홍색 란도셀과 거기 꽂힌 리코더는 로리 캐릭터의 상징.
- 주인공이 남자인 경우 주로 나이 상하에 상관없이 '오빠'라 부른다.
- 성적이 뛰어나지만 운동을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집안일을 잘한다.
- 판타지 작품이라면 세계관상 어떤 이유로 성장이 멈추거나, 어려진다거나, 나이를 먹지 않게 되어 실제 나이와 외형이 다른 경우가 매우 많다. 로리의 나이가 세자리인 경우도 널려 있다.
- 이제 어린애가 아냐!
- '오빠'를 유혹하곤 한다. 묘하게 어른스럽고 낮게 깔린 목소리와 요염한 표정으로.
- '오빠'를 유혹하곤 한다. 묘하게 어른스럽고 낮게 깔린 목소리와 요염한 표정으로.
- 21은 로리의 숫자다[8].
2. 화물자동차를 뜻하는 영국 영어 ¶
이 표현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화물자동차로는 탱크로리(tank lorry : 유조차)가 있다. 절대 탱크를 타고 다니는 로리가 아니다 이 외에도 티퍼로리(tipper lorry : 덤프트럭), 로리크레인(lorry crane : 크레인트럭), 밀크로리(milk lorry : 우유수송차)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로리차량이라고 하면 보통 유조차나 우유 수송차처럼 둥그런 모양의 화물칸에 액체 형태의 물품을 수송하는 차량을 일컫는다.
한국에서 발음 연습으로 '간장공장 공장장은 강 공장장', '경찰청 철창살은 쌍철창살' 식의 문장을 사용하는 것처럼 영국에서는 'Red lorry yellow lorry red lorry yellow lorry' 라는 문장을 사용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이름을 따온 록 밴드도 있다.
3. 아르메니아의 지명 ¶
아르메니아의 북부 지역에 로리라는 지명의 행정구역이 있다. 영어로는 Lori Province라고 쓰며 아르메니아어 문자로는 Լոռի라고 쓴다. 공식 웹사이트는 lori.region.am이다.
5. 영어 이름 ¶
영어 이름 중 하나. Lori/Rory 등으로 쓰이며 '로런스(Lauence)' 계열 이름의 애칭이다. 이 경우는 Laurie라고 하는데 Lori/Rory는 대부분 여성용이며 이름에 자주 쓰이지만 Laurie는 남녀 구분이 거의 없고 성씨와 이름 둘 다 쓰인다.
----
- [1] 한국에선 노리(老羸)라고 읽지만 북한에서는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읽는다.
- [2] 원래는 인명구조용 트로리.
- [3] 그 중에 특히 캐나다는 로리의 "로"자만 나와도 잡아갈 정도로 제일 엄격하다.
- [4] 일본은 기본적으로 소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어 출마하는 지역구에 해당 업계 종사자 수가 적으면 상관없다. 여담으로, 이 때문에 일본은 노령인구의 표가 굉장히 중요해서 매 선거 공약으로 노년층 복지정책이 단골로 나온다.
- [5] 2013년 5월 28일 현재 픽시브에서 로리거유를 검색하면 최신 이미지들은 전부 이 캐릭터의 그림이 차지하고 있다.
- [6] 단, 일부 사람들은 로리와 별로 안 맞는 음색이라 평하기도 하며 그리고 성우가 1968년생이라 현재는 무리라는 평가도 많다.
- [7] 단, 이 성우는 몇몇 로리와 상성이 안좋다.
- [8] 《리틀 버스터즈》의 나츠메 쿄스케가 (21)을 쓰면 가타카나로 로리(ロリ)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
- [9] 네이버 인물검색에선 휴고 로리로 나온다. 뭔짓거리야 네이버... 해설방송에서는 대체적으로 휴고 로리스로 나온다만...
- [10] 성장정지+불로불사. 실 연령은 20후반~30초반으로 보인다.
- [11] OVA에서 원작의 로드롤러 대신 탱크로리로 쿠죠 죠타로를 깔아뭉개려고 했기 때문에 OVA의 사례로 로리콘을 낚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