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olving Door[1]
사전적 의미 ¶
문의 일종. 1888년에 발명되었다. 주로 십자형태로 된 문짝이 실린더형의 공간에서 돌아가게 되어있다. 이 문의 최대 장점은 외부와 내부의 공기흐름을 완전히 격리한 상태에서 통행자의 출입을 가능케 한다는 점으로서, 보온에 유리하다. 따라서 보통 건물의 현관에 배치된다. 현관에 배치되는만큼 가장 많이 보이는 재질은 유리.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법. 회전문은 일반적인 문보다 통행량 처리속도가 느리다. 한마디로 말해서 인파가 몰리면 문 앞에 긴 대기줄이 생기기 십상이라는 것. 또한 내부로 들어오는 동선과 외부로 나가는 동선이 문 안밖에서 충돌하기 쉬워서 정체현상을 더욱 가중시킨다. 더 큰 문제는 화재 발생등의 비상사태시 사람들의 탈출로를 막는 장벽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평상시야 한쪽으로만 밀면 회전문이 회전하지만, 비상시에는 당황한 사람들이 회전문의 양쪽을 밀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는 것이다. 덤으로 이런 비상상황에서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회전문이 정지해버린다! 그래서 법령상으로 회전문의 양 옆에 일반적인 출입문을 비상문으로 만들어서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거대한 유리벽 4개를 미는셈이기에 일반적인 문보다는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그래서인지 회전문 4칸에 사람이 전부 들어있는데 회전문이 안움직인다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공유지의 비극? 물론 센서를 달아 자동으로 회전하게 만들어 놓는 방식도 존재한다. 통행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도는게 아니라 축 두개사이에 문짝 여러개를 달아놓은 컨베이어 벨트방식도 존재한다.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있는것이 대표적.
비유적 의미 ¶
회전문 인사 ¶
공직에 있던 사람이 퇴직을 하고 자신의 업무와 이해관계에 있던 사기업에 입사하는 행위를 회전문 인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론 이 경력을 이용해서 공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정경유착의 꽃중의 하나.
꼭 정경유착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전문직,인재풀이 좁아서 직종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업계에서는 피할 수 없는 것이 회전문 인사이다. 스포츠판도 이런 회전문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신인이 계속 나와서 기존 선수를 밀어내지 않는한 계속되는게 회전문 인사.
회전문 감상 ¶
----
- [1] Rolling이나 Spinning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