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분야 분류 ¶
(1) 선사고고학, 역사 고고학(문자 기록의 유무를 기준으로 함)
시간, 공간적인 제약 없이 연구주제에 따라 분류되는 분야의 고고학을 일컫는 말로, 자연과학 분석방법을 적극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형성되었다.
- 선사고고학 : 말 그대로 선사시대를 다루는 고고학. 우리나라로 치면 삼국시대 이전까지가 된다.
- 역사고고학 : 말 그대로 역사시대를 다루는 고고학. 우리나라로 치면 삼국시대 부터가 된다.
시간, 공간적인 제약 없이 연구주제에 따라 분류되는 분야의 고고학을 일컫는 말로, 자연과학 분석방법을 적극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형성되었다.
- 환경고고학 :
인간을 생태적 체계에서 다른 종과 상호작용하는 자연계의 한 부분으로 보며 이러한 상호관계를 밝혀 그 관련을 중요시하는 분야.
- 동물고고학 :
뼈, 조개껍데기 등을 자료로 하여 인류의 경제활동, 환경이용, 식물개발의 역사, 나아가 당시 영양상태까지 밝혀내는 분야.
- 식물고고학 :
고식물고고학 이라고도 한다. 유적에서 발견되는 식물유체를 분석하여 식생 복원, 인간에 의한 식물 이용 상황의 복원, 인간과 식물관계의 역사적 변화 등을 밝혀내는 분야.
- 종교고고학 :
옛사람들의 종교적인 행위, 종교적 문화상 등을 유적, 유물을 통하여 유추해내는 분야. 엔하위키에서 대차게 까고 있는, 별도의 항목까지 개설되어 있는 성서 고고학자가 연구하는 성서 고고학도 여기로 분류된다.
- 수중고고학 :
보물선 찾기바다 속이나 호수 속의 고고학적 자료를 찾는 분야. 신안 앞바다 해저 유물 탐사도 여기에 포함된다. 우리나라 고고학계의 최대 흑역사급인국보 제 274호영구결번 귀함별황자총통을 발굴(?)한 이충무공 해저유물 발굴조사단도 여기로 분류될..것 같다.
- 실험고고학 :
고고학적 자료들을 설명하기 위해 과거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적으로 그 용도를 연구하는 분야.
- 그 외 :
연구주제나 대상 :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도 공간고고학, 마을고고학, 여성고고학, 화장실고고학 등
연구의 경향 : 전통고고학, 신고고학(과정고고학), 후기과정고고학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