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PG image (Unknown)]
1. 개요 ¶
그냥 발레하는 여자를 이른다…가 아니고, 원래는 여성 발레 무용수들 중 최고의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만 붙이는 호칭이다. 발레리나와 발레리노 이 둘을 통틀어 '프린시펄(principal)'이라고 하는데, 발레의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편의상 남자 무용수는 발레리노, 여자 무용수는 발레리나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발레 댄서, 이탈리아와 러시아 계열에서는 발레리나라고 부르며, 일본에서 발레리나라는 호칭을 채택하고 한국 발레 1세대들이 일본 유학파들이기 때문에 한국 역시 발레리나가 되었다.
발레슈즈를 부르는 이름도 같은 이유로 나라마다 다르다.미국, 캐나다에서는 발끝이 딱딱한 발레 슈즈를 발레 슬리퍼 혹은 토 포인트 슈즈라고 한다. 미국, 영국, 독일, 스웨덴 등에서는 포인트 슈즈라고 부르며, 한국은 일본식 명칭인 토슈즈라고 부른다.
발레단의 주역을 한국에서는 수석 발레리나, 미국 영국 등 영어권에서는 프린서펄, 프랑스에서는 에뚜왈, 이탈리아권에서는 프리마 발레리나라고 한다. 흥행이 보장되는 수석 발레리나 중에서는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프리마 돈나 혹은 발레 스타라고 부른다. 남성 발레리노는 당쉐르 노블, 수석 발레리노, 프린서펄 등으로 불린다.
발레리나가 왕실의 작위를 받거나, 수석 발레리나가 발레단의 단장이나 예술감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으로는 프리마 압솔루따라고 부르며, 한국에서는 유니버설 발레단의 수석으로 활동했으며, 지금은 은퇴한 문훈숙 단장이 이러한 지위였었다.
'발레'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단어인데, 어째 정 반대 항목은 2010년 9월 18일에 처음 만들어져 몇 번 위키러들의 손이 간 적이 있던 반면에 이쪽은 2012년 2월 15일에서야 만들어졌고 그 이후에도 거의 방치된 상태(…) 안습
이후에는 레오타드 속에 속옷이 덧대어진 형태, 혹은 파운데이션이라고 불리는 살색의 얇은 레오타드를 착용한다. 백조의 호수 등 레오타드 하의에 깃털이 덧대어져 두꺼운 발레가 아닌, 쉬폰 재질의 얇은 코스튬의 경우는 겉옷 아래에 이러한 레오타드를 입기도 한다. 파운데이션은 상하의가 붙은 수영복 형태, 위 아래가 나뉘어진 2피스로 출시되고 있다. 남성 무용수는 점프 착지의 충격과 회전의 원심력으로부터 하체를 보호하고 보정하기 위한 연갈색 댄스 벨트를 착용하고 타이즈를 입는다.
고전 발레에서는 종 모양의 로맨틱 튜튜, 수평의 원반형인 클래식 튜튜가 있으며 쉬폰과 새틴으로 된 현대형 튜튜, 그리고 맥밀란 발레에서 자주 선보이는 민소매 긴 스커트로 된 튜닉형 의상이 있다. 현대발레에서는 레오타드만 입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