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지리 관련 정보, 대중교통 관련 정보, 철도
Contents
4. 철도 기술용어 ¶
5. 철도 관련 자격증 ¶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나 열차조작기능사 1, 2급과 같이 세분화되어골라먹는 재미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6.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철도대학을 국내 유일의 철도인 양성 전문기관으로 운용하고 있었지만, 국유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공사화하고 특채 제도 또한 그에 따라 폐지됨으로써 철도 전문교육을 굳이 한국철도대학에 국한시킬 필요가 없어지자 이 시기를 전후하여 각 대학에 철도 관련 학과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났다.[4] 본 단락에서는 그러한 대학들을 정리하였으며, 관련 자료로 대한교통학회 학회지 '교통 기술과 정책' 2012년 12월호에 수록된 표를 참조하였다.[5] 관심있는 수험생은 참고해보자.그래도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우송대학교, 동양대학교밖에 모르겠지
대학원의 경우, 연관성까지 고려하면 얼마든지 확장시킬 수 있기에 해당 대학원 내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된 전공이 포함되어 있거나, 아예 대학원 명칭에서부터 '철도'가 기재되어 있는 대학원만 기록한다.
7.2. 개통/건설 예정 도시철도 (지하철) 노선 ¶
7.9. 그 외 ¶
8. 차량 ¶
철도차량 관련 정보를 참고하라.
10.2.2. 운임제도 ¶
- 스룻토 간사이 패스
- 청춘 18 티켓 (JR)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 (JR)
- JR패스 (JR)
- TR패스(타이완 철로관리국)
10.3.1. 주요 역 ¶
- 런던 킹스 크로스 역
- 런던 빅토리아 역
- 세인트 판크라스 역
- 런던 패딩턴 역
- 런던 워털루 역
- 파리 북역 (Gard du Nord)
- 브뤼셀 남역
- 쾰른 중앙역
- 로마 테르미니역
- 펜실베이니아 역
- 암스테르담 중앙역
-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
-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역
- 모스크바 벨라루스 역
- 모스크바 키예프 역
-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역
10.3.4. 운영 주체 ¶
- RZD(러시아)
- NS (네덜란드)
- ÖBB (오스트리아)
- DSB (덴마크)
- SNCF (프랑스)
- DB (독일)
- NSB (노르웨이)
- CP (포르투갈)
- Renfe (스페인)
- SJ (스웨덴)
- VR (핀란드)
- SBB (스위스)
- FS Trenitalia (이탈리아)
- Amtrak (미국)
- NJ Transit (미국, 뉴저지 주)
- PATH (미국, 뉴저지 주+뉴욕 주)
- MBTA (미국, 매사추세츠 주)
- MTA (미국, 뉴욕 주)
- Thalys (프랑스, 독일, 벨기에)
- VIA Rail (캐나다)
- 런던교통공사 TfL
- 베올리아
- 키올리스
- 파리교통공사 RATP
11.3. 일본 ¶
- RAIL WARS
- 가면 라이더 덴오
국철 지그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11]
- 나는 너희만큼 시각표를 잘 넘기지 못해
로맨싱 사가 2[12]
- 미라클☆트레인 (도쿄 12호선 오에도선 배경)
신만이 아는 세계[13]
- 아가씨 특급(お嬢様特急) : 전격 G's매거진에서 1997년 10월호부터 1998년 11월호까지 연재된 독자참가기획 및 이를 원작으로 한 미디어믹스 상품군. (이하 게임판 줄거리)8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의 보름동안 일본 열도를 횡단하는 초호화특급 '베가'로 주인공이 여러 관광지를 돌며 베가의 승객 13명(+종업원 5명)과의 연애를 즐기는 것이 목적. 왓카나이에서 출발해 삿포로, 아오모리, 센다이, 도쿄를 거쳐 종점 유메노사키(夢の崎)까지 달린다.
- 열차전대 토큐저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주요 용자 로봇들이 신칸센 차량)
- 위대한 여로(大いなる旅路)
- 은하철도 999
- 전광초특급 히카리안 (등장 로봇들이 신칸센 차량)
- 철도무스메
- 철도원
- 테츠코의 여행 - 철도 동호인이 등장하는 논픽션 만화
- 트레인 히어로 - 중일합작이나, '중국' 란이 없으므로 편의상 여기에 분류
- 특급 다나카 3호
12.2. 운전 계열 ¶
철도 관련 게임의 꽃으로 불리는 것이 바로 철도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CG 또는 실사 동영상을 활용하여 실제로 철도 운전을 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주기 때문에 인기가 많으며, 특히 일본의 철도박물관에 있는 열차 운전 시뮬레이터들은 한번 플레이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할 정도이며 가끔씩 어디선가 운전사 제복까지 갖춰 와서 코스프레를 겸해 진짜 운전사처럼 지적확인 환호응답까지 하며 플레이하는 사람도 있다는 도시전설급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제작방법에 따라 CG와 실사 동영상으로 나누어지며, 성향에 따라 시뮬레이터와 게임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분류는 작품에서 즐길 수 있는 재미와 장단점이 나뉘기 때문에 어느 것이 좋고 나쁘다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2.2.1. CG계열 ¶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된 철도 운전 시뮬레이션으로, 컨텐츠의 양이 가장 많기 때문에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부분을 그래픽으로 재구성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충분하다면 실물 수준의 퀄리티를 뽑아낼 수도 있다. 하지만 제작자나 제작 회사의 기량에 따라 그 수준이 천차만별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제작 기간이 길어지거나 차기작 등장까지의 텀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 BVE - 철도 운전 시뮬레이션 도구. 이 프로그램은 시나리오의 자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자체만 놓고 보면 시나리오를 재현시켜주는 일종의 툴로 볼 수 있으며, 제작자의 성향에 따라 전차로 고와 같은 게임이 될 수도 있고 트레인 시뮬레이터와 같이 중독성과 현실성이 매우 강한 진짜 시뮬레이터가 될 수도 있다.
- Open BVE - 오픈소스화된 BVE 에뮬레이터 프로그램. 따라서 일부 BVE 파일을 로딩하지 못하거나 구현할 수 없는 기능도 있다. 하지만 원판 BVE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두 프로그램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Hmmsim - 사실 별개의 프로그램이지만, 노선 데이터는 BVE 구문을 이용한다.
- 전차로 고 - 철도 운전 시뮬레이터를 아케이드화시킨 것으로, 사실상 철도 운전 게임에 해당한다.
- Train Simulator - 이 이름을 달고 나온 프로그램들은 여러 종류가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12.2.2. 실사동영상 계열 ¶
그래픽이 아니라 운전석에 고화질 카메라를 설치하여 전면 영상을 녹화, 이를 활용한 운전 시뮬레이션이다. 그래픽이 아닌 실제 영상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간과 예산이 부족한 아마추어가 제작하더라도 상대적으로 CG계열에 비해 제작에 들어가는 수고가 덜하며 실제로 열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대신 이미 촬영된 동영상을 활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없고 속도에 따른 동영상의 재생 프레임 제어를 하기 때문에 저속 운행시나 정차시에는 영상의 프레임률이 극도로 저하되고 조착이나 조통 등 시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구현하게 되면 촬영한 동영상과의 싱크로를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PC용으로는 나온 것이 거의 없어 진입장벽이 높다는 것도 흠. 일본 철도 동호인 계를 기준으로, PC용으로 나온 실사동영상 계열의 게임들은 주로 아마추어 제작자들이 동인게임 비슷한 형태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즉 상용 소프트웨어라는 이야기.
- Train Simulator 중 온가쿠관 계열
- 전차로 고 시리즈 중 PS판으로 나온 온가쿠관과의 합작품
철도박물관 시뮬레이터
12.2.3. 작품의 성향 ¶
또한 작품의 성향에 따라 이들을 다시 세분화하면 시뮬레이션 중심과 게임성 중심으로 나뉘는데, 시뮬레이션을 중점으로 추구하게 되면 진짜 열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지만 마치 비행 시뮬레이션처럼 지나칠 정도로 게임이 까다로워져 실제 철도 운전사처럼 해당 선구를 운행하기 위해 선로의 각종 조건들을 암기하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만족스러운 수준의 플레이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있고, 게임성을 중점으로 추구하게 되면 지나치게 운전과정에만 치중하게 되면서 철도 운전의 핵심이라고 불리는 선로상의 각종 제약조건들이 약화되거나 아예 없는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제 철도 운전과는 상당히 동떨어지게 되는 점이 자주 지적된다. 따라서 요즘 나오는 철도 운전 관련 게임들은 시뮬레이션과 게임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열차 운행 준비를 위한 복잡한 과정은 가급적 줄이고, 가능하면 운전에만 집중하되 각종 선로의 조건들에 한해서는 실사 수준으로 구현해 놓는 경우가 많다.
14.2. 세계 ¶
- 세계 최장거리 여객철도노선 기네스북 기록
러시아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역~북한 평양역 | 10,214 km |
- 단일 노선 길이
노선명 | 길이 |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 9,334 km |
- 세계 최북단 역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 북위 68도 58분 |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역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 해발 5,072m |
- 이용객수 세계 1위
일본 도쿄 신주쿠역 |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 일본 철도의 끝과 끝
최북단 | 소야 본선 왓카나이역 |
최서단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나하공항역 |
최남단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아카미네역 |
최동단 | 네무로 본선 히가시네무로역 |
----
- [1] 엄밀히 말하면 건축 용어이지만 코레일의 유리궁전 남용을 까는 의미에서 철도용어에 포함
- [2]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
- [3]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드디어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 - [4] 엄밀히 말하면 일부 실업계 고등학교에도 어느 정도 해당되긴 한다. 철도전기과가 존재하는 상주공업고등학교라거나, 학과 자체는 없지만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와 MOU를 체결한 용산공업고등학교라든지. 그러나 본 단락에서는 대학 위주로 서술한다.
- [5] 해당 도서 내의 참서원 원장 백정숙이 작성한 '미래지향적 철도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에서 발췌한 것으로 2012년 2월 기준 자료다.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 대학은 2014년 확인 결과 관련 과가 폐지 등으로 없어진 경우.
- [6] 원주강릉선에 운행될 차량등급이다. 등급명은 미정
- [7]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하였다.
- [8] 어느 1-2호선 환승 역 때문에 철도 용어에 들어간다.
- [9] 싱가포르의 우드랜즈 역도 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
- [10]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
- [11] 주요 등장인물 이름을 신칸센에서 따왔다.
- [12] 소레치루나 신만세와 같은 이유. 이쪽은 야마노테선의 역명을 따왔다.
- [13] 로사2와 같은 이유. 다만 이쪽은 킨테츠의 역명을 따왔다.
- [14] 마인카트와 레드스톤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철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단순히 철길을 놓는 것부터 스크린도어나 열차 진입 램프 등의 세세한 것은 물론 배차간격 설정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구현 가능하다!
다만 쌩노가다를 해야 한다 - [15] 단 동해북부선 제진역이 최북단이라는 의견도 있다. 북한 포함시 함북선 세선역이 최북단이다.
- [16] 북한 포함시 다사도선 룡암포역이 최서단이다.
- [17] 북한 포함시 두만강선 두만강역이 최동단이다.
- [18] 물론 북한에는 고도가 훨씬 높은 역이 많다.